*The Waste Land(황무지)*
1부. 죽은 자의 매장(The Burial of the Dead)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으며
봄비로 잠든 뿌리를 깨운다
겨울은 오히려 우리를 따뜻하게 했었다
忘却눈(forgetful snow)으로 大地를 덮고
마른 구근(球根)으로 가냘픈 生命을 키웠다
여름은 소나기를 몰고 슈타른베르가제 湖上을 건너와
우리를 놀라게 했다
우리는 주랑(柱廊)에 머물렀다가
햇빛이 나자 호프가르텐 공원에 가서
커피를 들며 한 시간 가량 지껄였다
내가 러시아 사람이라고요
천만에 난 리투아니아에서 난 순수한 독일人인데요
어렸을 때, 사촌 太公집에 머물렀었는데
사촌은 나를 썰매에 태워 데리고 나간 일이 있었죠
난 무서웠어요, 마리 마리, 꼭 붙들어 하고 그는 말했어요
그리곤 쏜살같이 내려갔지요
山에 오면 마음이 편안하지요
밤에는 대개 책을 읽고, 겨울엔 南쪽으로 갑니다
이 엉켜붙는 뿌리들은 무엇인가?
이 자갈더미에서 무슨 가지가 자란단 말인가?
人子여, 너는 말하기는 커녕 짐작도 못하리라
네가 아는 것은 파괴된 우상의 무더기뿐
그 곳엔 해가 내리치고, 죽은 나무 밑엔 쉴 그늘도 없고
귀뚜라미도 위안을 주지 않고
메마른 돌틈엔 물소리 하나 없느니라
단지 이 붉은 바위 아래 그늘이 있을 뿐
(이 붉은 바위 그늘로 들어오너라)
그러면 내 너에게 보여주마
아침에 네 뒤를 성큼성큼 따르던 너의 그림자도 아니고,
저녁때에 네 앞에 솟아서 너를 맞이하는 네 그림자와도 다른
그 무엇을 보여 주리라
한 줌의 흙먼지 속에서 공포(恐怖)를 보여 주리라
'일년 전 그날 밤 당신은 나에게 처음으로 히아신스를 줬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히아신스 아가씨라 불렀답니다'
-하지만 그때 당신이 꽃을 한아름 안고 이슬방울 머리에 맺힌채
밤늦게 히아신스 정원에서
나와 함께 돌아왔을 때,
나는 말이 안나왔고 눈도 보이지 않았고,
나는 산 것도 아니었고, 죽은 것도 아니었고, 아무것도 몰랐었다
다만 빛의 한복판, 그 정적을 들여다 보았을 뿐이었다
소소스트리스 부인은 아주 유명한 千里眼,
독감에 걸려 있긴 했지만 그래도
영특한 트럼프 카드 한벌을 가지고 占을 친다는 女人
유럽에서 가장 슬기로운 여자로 알려져 있다
이것 보세요, 그녀가 말했다
자, 이것이 당신 卦요. 익사한 페니키아 水夫군요
(보세요! 前날의 그의 눈은 진주로 변했어요)
이건 벨라도나, 岩山의 婦人, 수상한 여인이에요
이건 세갈레 지팡이를 짚은 사나이, 이건 차바퀴
이건 애꾸눈 상인
그리고 아무것도 안 그린 이 공백의 패는
이 상인이 짊어지고 있는 그 무엇인데,
내겐 보지 못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 교살당한 사내의 패는 보이지 않는군요
물에 빠져 죽는 걸 조심하세요
아아, 떼를 지어 원을 그리며 빙빙 돌고 있는 사람들이 보이는군요
또 오세요. 에퀴톤씨 부인을 만나시거든
천궁도를 직접 갖고 가겠다고 전해 주세요
요새는 조심해야 하니까요
空虛의 도시,
겨울 새벽의 갈색 안개 속으로
한 떼의 사람들이 런던 교 위로 흘러갔다. 저렇게 많이,
나는 죽음이 그처럼 많은 사람을 멸망시켰다고는 생각지 못했다
이따금 짧은 한숨들을 내쉬며
각자 자기 발치만 내려보면서
언덕을 넘어 킹 윌리엄 가를 내려가
聖메어리 울노스 성당이 아홉時 最後의 一擊의 꺼져가는 鐘소리로서
예배시간를 알리는 그곳으로 群衆은 흘러갔다
거기에서 나는 낯익은 한사람을 보았다
'스테슨! 하고 소리질러 그를 세웠다
자네 밀라에 해전때 나와 같은 배에 탔었지!
작년 뜰에 심은 시체에 싹이 트기 시작했나?
올해엔 꽃이 필까?
혹시 때아닌 서리가 묘상(苗床)을 망쳤나?
오오 개를 멀리하게, 비록 놈이 인간의 친구이긴 해도
그렇잖으면 놈이 발톱으로 시체를 다시 파헤칠 걸세!
그대! 위선적인 독자여! 나의 同胞여! 나의 형제여!'
이하생략....
T.S 엘리엇의 황무지는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황폐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리스 신화,오비드의 변신, 바 이블, 우파니샤드,단테,
셰익스피어,보들레르의 "악의 꽃" 등의 작품을 시 곳곳에 인용하고 있다.
전편 433행으로 된 장시로 20세기의 영국 현대문학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이라는 유명한 시구로 시작되는 엘리어트(Thomas Steams Eliot)의 시는
5장 433행으로 되어 있다
그는 황무지로 변한 현대 서구문명과 인간사회를 묘사함으로써
이 불모지의 메마른 땅 위에 신의 자비로운 비가 내릴 것을 희구하는 마음으로 이 시를 읊었다.
이 시의 주제는 보들레르의 악의 꽃과 같이 근대 도시생활의 추악함이나 일반적 인간의 타락을 미와 추,
절망과 동경, 모랄과 반모랄이라는 비연속의 연속에 의하여 극적으로, 또는 의식과 무의식의 교차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 시 전편을 통해서 T.S.엘리어트는
과거 인류의 역사를 압축하여 현대인의 정신의 불모지를 그 역사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현대사회의 인간이 선과 악의 의식을 잃고, 정신적 불모 속에서 가라앉는다고 보았던 것이다.
엘리엇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서 만든 명곡
*April - Deep Purple*
April is a cruel time
Even though the sun may shine
And world looks in the shade
as it slowly comes away
4월은 잔인한 계절
심지어 햇빛마저 비추게 된다면
이 세상은 서서히
그림자 속으로 잠기게 되버리겠지
Still falls the April rain
And the valley's filled with pain
And you can't tell me quite why
As i look up to the ...
아직은 4월의 비가 내리네
온마을이 고통으로 가득차게 되면
당신은 내게 도대체 왜 그런지를 물어보지
내가 회색빛 하늘을 올려다 볼 때 마다
Grey sky Where it should be blue
Grey sky where I should see you
Ask why, why it should be so
I'll cry, say that I don't know
회색빛 하늘이 어디서부터 파래야 하는지를
회색빛 하늘을 어디서부터 볼 수 있는지
왜, 왜 그래야 되냐고 물어 보지만
Maybe once in a while
I'll forget and I'll smile
But then the feeling comes again
of an April without end
Of an April lonely as they come
아마도 가끔씩은
모든 걸 잊고 미소를 머금겠지
하지만 그 땐 끝이 없는 4월의
느낌이 다시 되살아나지
다가오는 외로운 4월의
ㅡ인터넷에서ㅡ
'작가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사)정. 조용필 노래 (0) | 2020.07.22 |
---|---|
(가사) 들꽃. 조용필 노래 (0) | 2020.07.22 |
(시)눈물.김현승 (0) | 2020.03.19 |
(시)갈매기. 천상병 (0) | 2020.02.19 |
(시)2월. 목필균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