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정교회 이콘전시를 보고왔다. 러시아 정교회 이콘과는 느낌이 또 달랐다. 그리스에서 12세기 경에 비잔틴 스타일로 정립 된 이콘은 러시아에 이콘과 글자가 함께 전해지며 러시아어도 발명된거란다. 러시아는 되늦게 문명을 받아들여 르네상스 풍의 이콘화로 더 화려하게 치장 되어졌다. 러시아어가 그리스어와 닮음의 연유를 알겠다. 기회가 주어져서 그리스 이콘을 따라 성지순례를 해보고 싶다.
그리스의 오래된 수도원이며 정교회도 보고 싶다는 생각. 그리스 이콘이 노른자에 식초를 쓰지만 러시아는 물을 사용하는 점도 달랐다.
이콘(icon)은 주로 동방교회에서 발달한 미사용 그림이다. 명칭은 ‘상(像)’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이콘에서 유래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400여 년 동안 계속되어 온, 러시아 이콘Icon의 역사는 998년 러시아 최초의 국가인 키예프 공국의 블라디미르 대공이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그리스 정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시작한다. 11세기 동서 대분열과 종교개혁으로 로마가톨릭에서 분리된 동방정교회의 이콘Icon은 러시아 문화와 러시아인의 삶과 신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스와 비잔틴 등의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며 나타난 이콘Icon은 성경의 인물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그린 신앙의 표현이다.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성서의 내용을 그림으로 읽을 수 있도록 제작한, 이콘Icon은 ‘쓰고 읽는다' 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콘Icon은 표면적인 아름다움과 그 이면에 담겨있는 것을 찾고자 한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을 반영한 작품들이다.’
ㅡ펌 ㅡ